다양한 리뷰37 불안의 이유 (사랑 결핍), 알랭 드 보통 <불안> 우리가 사회에서 위치한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 때문에 불안해하는 이유 중 하나로 사랑 결핍이 있다. 더 높은 지위에 위치하면 주변 사람과 사회로부터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높은 지위를 바라는 마음을 갖는다는 이야기다. 어떤 동기 때문에 높은 지위를 구하려고 달려드는가?(...) 사랑. 먹을것과 잘 곳이 확보된 뒤에도 사회적 위계에서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를 바라는 것은 그곳에서 물질이나 권력보다는 사랑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 사랑은 가족에서 나타나든, 성적 관계에서 나타나든, 세상에서 나타나든 일종의 존중이라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존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라고 정의해볼 수도 있겠다. 누가 우리한테 사랑을 보여주면 우리는 관심의 대상.. 2020. 3. 20. <대한민국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재테크는 '기술'이 아닌 '습관'이다. 돈 버는 방법이 아닌 돈을 모으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 책 직장인들이 읽으면 유익할 것 같다. 특히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20대 후반의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돈을 모을 수 있는지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어서 이제 막 사회에 진입하는 사람들에게 기초를 탄탄히 다질 수 있는 재테크 개념을 설명해준다고 생각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5~10년 동안 어떻게 종자돈을 모으고 그 돈을 어떻게 활용할지 알려주는 책이다. 나에겐 사실 그닥 열정을 불러일으키진 않았다 내 목표는 돈을 모으는 게 아니고 잘 버는 방법이고, 난 직장에 취업해서 장기간동안 버티면서 이 책에서 말한 대로 5년 길게는 10년 동안 버티면서 돈을 모으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한 장소나 직장에 오래 있는 걸.. 2020. 3. 17. 알랭 드 보통 <불안> 지위로 인한 불안 사회에서 제시한 성공의 이상에 부응하지 못할 위험에 처했으며, 그 결과 존엄을 잃고 존중을 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걱정. 현재 사회의 사다리에서 너무 낮은 단을 차지하고 있거나 현재보다 낮은 단으로 떨어질 것 같다는 걱정. 인간은 살면서 많은 불안에 시달린다. 그중에도 알랭 드 보통은 이 책에서 지위로 인해 오는 불안에 집중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와 관계를 맺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지위는 아주 중요해진다. 자신이 어떤 지위에 위치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양과 남들의 관심이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불안이 생긴다. 사회에서 제시한 성공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할수도 있다는 두려움, 또는 현재의 지위보다 더 낮은 지위로 하락.. 2020. 3. 12. <12가지 인생의 법칙> 느낀점 피터슨의 책을 다 읽고 느낀 이 책의 핵심은 '내가 원하는 것을 분명하게 말할수 있어야 한다' 이다. 원하는 것을 분명하게 말함으로써 우리는 의미없는 세상의 혼돈속에서 방황하지 않고 자신만의 목적지르 만들 수 있다. 원하는 바를 설정하지 않으면 정처없이 방황하게 되고 인생에서 아무 의미도 발견하지 못하고 허우적대다 인생이 끝나버리는 좌절을 맛보게 될 것이다. 인생은 분명하게 고통이지만 잘만 활용하면 우리는 고통같은 인생에서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즐겁고 행복한 인생을 위해서는 스스로 원하는 것을 분명하게 알아야한다. 우리는 흔히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몰라서 모호한 태도를 취할 때가 많은데 그것은 사실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아서 인것 같다. 실패할 수 있는 확률이 생기.. 2020. 2. 29.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